인스타그램 해킹 비밀번호 분실 계정 복구 가능성
- 라이프/다양한 정보
- 2024. 5. 23.
상당히 오래전에 만들었고 지금까지 릴스 시청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하던 인스타그램이 하루아침에 로그아웃 되어 결국엔 로그인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가장 의심스러운 것은 해킹입니다. 잠자기 전에 인스타그램을 봤는데, 자고 일어나니 해킹이 되어있었죠. 그럼 이렇게 해킹된 인스타계정 다시 복구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되는 케이스가 있고 안 되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안 되는 케이스라서 결국 새로운 인스타 계정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로그아웃 되어 있다면 인스타그램 해킹을 의심
쿠팡 같은 쇼핑앱도 그렇고 SNS 앱도 그렇고 어지간해서는 로그아웃 되는 일이 잘 없습니다. 그런데 앱 접속을 하는데 로그인 화면이 나타났다? 그러면 여러 가지 의심을 하게 됩니다.
상당히 오래전에 만들었기 때문에 비밀번호가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크게 사용하는 패턴이 4가지라서 지속적으로 입력하고 로그인을 했는데 안되더군요.
자주 사용하는 어플이나 웹사이트 경우 아이폰 암호 자동완성에 보통 입력을 해놓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절대 틀릴 수가 없습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은 같은 회사 제품이라 계정을 유사하게 관리를 해놨습니다. 거의 수십 번 넘게 시도했는데도 안되길래 다른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해결하려 했나?
본격적으로 인스타그램 어플 내에 있는 비밀번호 찾기나 계정 찾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정에 접근하려고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이 계정이 핸드폰으로 가입되었는지, 이메일로 가입되었는지 조차도 기억이 나지 않았습니다.
와츠앱은 아주 오래전에 설치했는데, 왜 와츠앱이 뜨는지 모르겠지만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으로 와츠앱도 새로 깔고 가입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와츠앱으로 오는 거랑 그냥 핸드폰 번호로 오는 거랑 결국 같은 내용이었습니다.
휴대전화로 오는 인증번호 6자리를 넣어도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 소용이 없는 이유는 인증 앱에서 생성된 6자리 코드를 또 입력해야 했기 때문이죠.
인스타그램에서 말하는 인증앱은 애플 패스워드, 듀오 모바일, 구글 authenticator가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과거 가입할때 이러한 방식으로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 또한 유효한 방법이 아니란 걸 알았습니다.
인스타그램 고객센터를 통해 도움 받았나?
결국 인스타그램 고객센터를 통해 지원 요청을 하기로 했는데, 결론부터 말하면 별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 방법까지 가기 전에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봤는데, 셀카 동영상을 찍어서 인증하는 것도 사실 쉽지 않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제 계정에는 제 얼굴이 제대로 나온 게시물이 하나도 없었기 때문이죠. 그래도 울며 겨자 먹기로 시도는 했습니다. 결과는 비교적 빨리 왔는데 귀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고 안내를 받았습니다.
답답한 마음에 컴퓨터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어 컴퓨터로 다시 로그인을 시도했습니다. 어플과는 다른 구성이라 뭔가 기대를 하며 열심히 찾아봤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정확하게 해킹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계정에 다시 로그인할 수 있는 링크가 포함된 이메일을 보냈다는데, 저 메일 계정은 살면서 단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메일이었습니다. 계정 탈취범이 이메일을 바로 바꾼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이 메일 도메인을 가지는데 제일 앞에 알파벳 o로 시작하며 끝에 .com으로 끝나는 계정이 있나요?
해킹을 확신한 다음 인스타그램 고객센터를 통해 해킹당했으니 계정을 다시 돌려달라고 요청을 하면 되겠다 싶어 고객센터 구석구석을 살폈는데, 접수하는 페이지는 없는 것 같았습니다. 내 계정이 해킹되었다. 로그인 코드가 사용할 수 없는 휴대폰 또는 이메일 주소로 전송이 되었다. 이런 곳에 들어갔는데 결국 고객센터 메인페이지로 자꾸 돌아왔습니다. 결국 돌고 돌아 메인페이지란 말이죠.
어떻게 해야 내 계정을 지킬 수 있나?
만약 해킹한 사람이 계정을 탈취해서 인증 코드를 받을 이메일이나 핸드폰번호 같은 걸 건드리면 방법이 없습니다. 결국 2단계 인증을 해놔야 하는 것인데, 이것도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입니다. 우리나라 기업 같았으면 고객센터와 전화라도 해서 여러 방법을 통해 계정을 찾을 수 있었을 텐데 외국 기업은 답이 없는 거 같습니다. 메타의 고객센터는 그냥 설명서를 올려놓은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번일로 깨달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