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경력증명서 발급 방법 [경찰민원포털]
- 라이프/다양한 정보
- 2024. 6. 11.
운전경력증명서 발급 방법
운전경력증명서는 다양한 기관 및 단체에서 필요로 합니다. 경찰서에 방문하면 발급받을 수 있는데, 컴퓨터가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다면 방문하는 수고를 조금 덜 수 있습니다. 운전경력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한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운전경력증명서 발급 기관
네이버와 같은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운전경력증명서 발급' '운전경력증명서'와 같은 검색어로 입력하면 조금 헷갈리는 상황이 발생됩니다.
오늘은 정부24가 뜨고 어제는 경찰청교통민원24인 이파인이 뜨기 때문이죠. 아래 사진을 보면 헷갈릴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해당문서를 주체적으로 발급하는 기관은 경찰민원포털입니다. 경찰청교통민원24는 교통관 관련된 문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경찰민원포털의 부속 사이트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정부24에서는 민원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각종 증명서를 다 모은 통합 사이트입니다.
정부24를 통해 해당 증명서를 신청해도 결국 정부24는 이 증명서를 담당하는 기관인 경찰청 교통기획과로부터 증명서를 대신 받아서 제공을 해줍니다.
운전경력증명서가 필요한 곳
해당 증명서가 필요한 곳은 운전으로 업을 하는 거의 모든 곳에서 다 요구합니다. 운전직 공무원도 해당이 될 것이고, 민간기업이지만 운전을 하는 업무를 하는 사람도 이 증명서가 필요합니다. 택시, 버스, 화물 종사자도 무조건 필요한 증명서입니다.
경찰민원포털에서 발급받는 방법
네이버나 다음 검색창에서 '경찰민원포털'을 검색해서 해당사이트로 들어가 줍니다. 새창으로 열리는 경찰민원포털 바로가기 링크가 있으니 클릭하셔서 이동해 주셔도 됩니다.
경찰민원포털
minwon.police.go.kr
메인페이지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빨간색 표시된 부분 두 군데를 기억하시면 됩니다.
로그인을 해야 하며 회원가입은 별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인증 방식은 3가지가 있습니다. 공동인증서, 아이핀, 휴대전화로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로 인증을 많이 진행하는데, 그러면 다시 처음부터 진행을 해야 합니다. 해당 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무조건 '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아래와 같은 통신사 인증앱 패스PASS를 통해 로그인을 하면 해당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없으니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본인인증을 진행하면 안 됩니다.
아래 화면처럼 공동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꼭 진행해주셔야 합니다. 공동인증서가 없다면 금융사를 통해 발급받은 후에 해당 절차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후 메인페이지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운전경력증명서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문과 영문이 있는데, 보통 국문을 요구하기 때문에 국문 신청을 누릅니다.
신청하기를 누르면 각종 약관 및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화면이 나오는데, 모두 필수항목이기 때문에 모두 동의합니다에 체크한 후 스크롤을 하단으로 내려서 다음단계를 선택합니다.
다음 페이지는 보안 사유로 경찰청에서 화면 캡처를 방지해 놨기 때문에 그냥 설명으로 대체하겠습니다. 신청인 정보는 본인인증을 통했기 때문에 이름, 주민등록번호, 운전면허증번호, 주소가 전부 다 맞게 기재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다음 항목을 보면 빨간색 별표로 4군데가 표시되어 있는데, 전부다 선택이 되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운전면허경력, 법규위반경력, 교통사고는 기간을 선택하면 안 되고 전체기간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취업하는 곳에서 최근 3년 기록만 요구한다면 그렇게 설정하면 되지만 99% 확률로 전체 경력을 요구할 것입니다. 발급사유는 '취업'이라고 기재하고 신청 버튼을 눌러줍니다.
정상적으로 신청이 되면 신청내역 리스트를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민원 사무명인 운전경력증명발급(국문)을 누르면 다음페이지(보안 사유로 캡처 X)에서 인쇄를 할 수 있습니다. 인쇄 버튼은 파란색 버튼이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인쇄 버튼을 누르면 본인의 증명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우측 상단 프린터기 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인쇄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집에 프린터기가 있는데 인쇄가 안된다면 PDF로 인쇄하기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체크해야 합니다.
반대로 집에서 인쇄를 할 수 없어서 다른 장소에서 인쇄해야 한다면 PDF로 저장하기를 눌러서 PDF 파일을 USB나 메일함으로 보낸 다음 인쇄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